안녕하세요.
쌍기사돌입니다.
드디어
드디어
^^
어려움에 봉착했습니다.
ㅡㅡ;
용접을 배우면서 오늘 같이 어려운 적은 없었습니다.
CO2 용접 - 솔리드 와이어 - 맞대기 - 수직 - 6t
전 개인적인 생각에 9t를 적당히 할 수 있다면
6t 가볍게 될 거라 굳게 믿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선생님 말씀이
"9t를 열심히 익히고 나면 6t를 새로 익혀야 합니다.
하지만 6t를 익히고 나면 9t는 그냥 됩니다."
헉!
선생님 그 말씀을 왜 오늘 해 주시나요....
그렇습니다.
9t (여기서 t는 두께를 의미하며 단위는 mm입니다.)
조금은 부정하고 싶지만 (솔직히) 시간낭비였습니다.
처음부터 6t로 했어야 합니다.
울고~ 싶어라~
======================
CO2 용접 : 맞대기 - 수직 - 6t
======================
AM 09:06
띵똥~!
'기사 제2회 필기시험에 합격하셨습니다.'
아침에 용접산업기사 필기 합격 문자를 받고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래서 더욱 활기찬 움직임으로
용접에 임했습니다.
복장을 깨끗이 착용하고
도구를 정성스레 준비하고
용접기 스위치를 기분좋게 올렸죠.
맞대기를 위해 시편을
아름답게(?) 가공해 놓은 건 두말할 나위가 없겠죠?
음음음음.....
콧노래도 부르며
자리에 앉았는데
앉았는데
그런데
망했습니다.
용접이 그렇게 안 될 줄이야
콧노래는 멈추고
짜증이 나기 시작하더니
정신을 차려보니 멍하니 한숨을 쉬고 있더군요.
시계가 보이더군요.
AM 09:38
문자 받고 32분 뒤에 좌절하고 있을 저를 상상도 못했습니다.
왜 그런고하니
6t가 전류, 전압 맞추기가 너무나 까다롭습니다.
공식을 이용하면 100A 일 때 17.5 ~ 20.5V 면 되는데
이론에 의하면 전압이 높으면 아크길이가 길어 져서 용입불량이 날 수 있어 전압을 줄이면 되는데
비드를 얇게 쌓고자하면 와이어 속도를 조절하는 전류를 조금 낮추면 되는데
위의 조건이 적당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직접 6t 맞대기 수직을 해보니
위빙속도, 위빙간격, 루트간격, 용착지점, 와이어 돌출길이, 개선각(=베벨각), 루트면 두께,
진행각, 자세 등등
너무나 신경쓸 것이 많고
위 조건 중에 어느 하나라도 잘못되면 원하는 결과물이 절대 안나온다는 걸
절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위의 조건 중에 적합하게 맞춘 것이 많을 수록
자신의 원하는 결과물에 가까워 진다는 것은 확실했습니다.
수직이라고 전류, 전압을 너무 낮춰서 위빙하는 것보다
조금 높여서 위빙속도를 높이는 것이 더 좋은 결과물이 나왔고
아크길이를 줄이기 위해 전류를 너무 낮추는 것보다
위빙간격을 좁게 조절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물이 나왔고
백비드를 내기 위해 위빙시 머무르는 시간이 적당하다고 해도
머무르는 지점이 적당하지 못하면 백비드는 안 나온다는 것을 알았고
접시모양으로 위빙을 하는 게 좋다고 어설프게 따라하는 것보다
쇳물 속에 와이어가 담길 정도를 유지하면서 지그재그로 위빙하는 것이 더 좋다는 걸 알았고
루트간격이 넓으면 백비드가 더 잘 나온다는 말에 피복용접봉 심선 지름 정도의 간격을 유지했는데
그 보다 조금 좁게 하는 것이 6t에서는 더 좋다는 걸 알았고
가접을 했다고 바로 위빙해서 수직을 올리는 것보다
가접부분을 더 예열해서 충분한 용입이 가능하게 더 머물렀다 위빙하는 것이 더 좋다는 걸 알았고
와이어 돌출길이는 15 ~ 20 mm 보다
20 ~ 30 mm 정도 내는 것이 더 좋다는 걸 알았고
수직 용접시 가스토치는 반드시 좌우 90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위 부분을 고려해서 다시금 용접을 했는데
안됩니다.
물론 조금 나아 졌지만
불만족스럽습니다.
어렵네요.
용접!
하면 할수록 어렵네요.
분명 9t는 이 정도까지 안 해도 적당하게 잘 나왔고
선생님도 잘 나왔다고 칭찬까지 해 주셨는데
아휴~
6t는 아닙니다.
쉽게 볼 녀석이 아닙니다.
그래서 시편을 정말 왕창 준비해 놓고 하루를 마무리 했습니다.
월요일에 가자마자 CO2 맞대기 수직 6t 할 예정입니다.
누가 이기나 해 보고 싶네요.ㅋ
뭔가 좀 찝찝하지만
그래도
열심히 지지고 왔기에
후회는 없습니다.
ㅎ
오늘은 여기서 줄입니다.
그럼 월요일에 뵈요^^
글작성 : 스터디온 회원 쌍기사돌이님 |
오늘은 쌍기사돌이님, 병찬님 두분다 합격을 하셔서 스터디온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마 합격의 설레임때문에 몸이 마음처럼 움직여지지 않았나봅니다.
돌이님...
용접산업기사 실기를 마스터하게 되면 용접기사 실기도 마스터 하는것으로 봐도 무관한가요?
회원 여러분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한번씩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