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공학에 관한 공학적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설계, 시공, 조사, 분석, 개발, 오염방제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구체적으로 보면 흙의 일반적인 성질과 압밀, 침하, 동현상을 분석하고, 토압의 산정과 구조물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추적하여 해안보전 시설물, 방파제, 호안시설 등 해양구조물의 안정을 기하기 위한 합리적인 설계및 도면작성, 재료선택, 시공 등의 직무 수행하고, 연안에서 해류의 이동 및 에너지 등을 연구하고 유사 및 오염물의 확산, 해안 건설공사로 인한 생태계의 영향 등을 분석하여 공학적인 측면에서 연안의 이용가능성을 분석검토하는 직무수행.
(1987년 해양공학기사1급으로 신설되어 1999년 해양공학기사로 변경)
<해양공학기사 시험일정>

1. 시행처
한국산업인력공단
2. 시험과목
- 필기 : 1. 해양학개론 2. 해양수리학 3. 해양구조공학 4. 측량학 5. 재료공학
- 실기 : 해양공학실무
3. 검정방법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 : 필답형(2시간 30분)
4. 합격기준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5. 검정수수료
필기 : 18800원
실기 : 21900원